2024년 05월 18일 토요일

  • 서울 24℃

  • 인천 24℃

  • 백령 17℃

  • 춘천 25℃

  • 강릉 28℃

  • 청주 25℃

  • 수원 24℃

  • 안동 26℃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6℃

  • 전주 26℃

  • 광주 27℃

  • 목포 24℃

  • 여수 25℃

  • 대구 29℃

  • 울산 27℃

  • 창원 27℃

  • 부산 26℃

  • 제주 23℃

막오른 지상파 UHD..실효성 ‘먼 얘기’

막오른 지상파 UHD..실효성 ‘먼 얘기’

등록 2017.05.31 14:38

김승민

  기자

지상파, UHD 편성비율 올해 5%·내년 10% 맞춰야소비자, 수신변환기·전용 안테나 등 추가 장비 사야UHD TV 가구 보유율 2.5%, 저소득층은 0~1%대

LG디스플레이의 65인치 UHD CSO.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LG디스플레이의 65인치 UHD CSO.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지상파에서 고화질(HD)보다 4배 선명한 초고화질(UHD) 방송이 수도권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막대한 사회적비용 발생에 반면 실효성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정부의 UHD 방송 추진 일정에 맞춰 급하게 콘텐츠를 제작하느라 출혈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UHD 방송을 추가 장비 없이 볼 수 있는 TV가 시장에 없어 소비자들도 돈을 더 들여야 할 판이다.

정부는 지상파 UHD 방송을 보편적 서비스로 밀고 나가려 하지만 UHD TV 보유율이 100가구 중 2.5가구 수준인데다 구매여력이 없는 저소득층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실효성 논란이 일 전망이다.

31일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3사는 이날 오전 5시부터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에서 UHD 본방송을 시작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2015년 말 수립한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에 따른 것이다. 미창부는 올해 말에는 부산·광주·대구·대전·울산·광주·강릉 등 광역권으로 UHD 방송 범위를 넓히고 2021년에는 전국 UHD 본방송을 목포로 하고 있다.

정부는 세계 최초의 지상파 UHD 방송 국가가 되기 위해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렇지만 정부의 서두름 때문에 오히려 안정적인 지상파 UHD 방송 보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앞서 수도권 본방송 1차 일자가 지난 2월로 잡혔지만 지상파 방송사들이 방송기술 표준과 방송장비 미비, 시험방송 기간 부족 등을 이유로 연기를 요청해 일자가 5월 말로 미뤄진 점도 이같은 비판에 힘을 실어준다.

실제로 지상파 UHD 방송 정책방안 시행 초반에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제작 장비 등의 교체로 인해 비용 출혈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지상파 방송사들은 급박한 일정에 따라 UHD 방송 편성비율을 채우기 위해 초기부터 많은 제작비를 들여야 한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올해 5%를 시작으로 2018년 10%, 2019년 15%로 UHD 방송 최소 편성비율을 지켜야 한다. HD방송이 종료되는 2027년에는 100%로 편성해야 한다.

UHD 방송은 HD방송보다 선명한 만큼 더 좋은 방송장비를 써야 한다. 제작비는 HD방송의 1.5~2배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주 수입원인 광고 매출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서 큰 부담이 생기는 것이다.

방통위가 발행한 ‘2016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사업자 매출에서 광고매출 규모와 비중은 2011년 2조3546억원, 59.8%에서 2015년 1조9112억원, 46.6%로 줄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지상파 UHD 방송을 즐기려면 추가비용이 필요하다. 올해 2월 전에 UHD TV를 산 사람은 지상파 UHD 방송과 TV 간 기술표준이 맞지 않아 별도로 수신변환기(컨버터)를 사야 한다.

지난 2월 이전 시장에 100만대 이상 판매된 UHD TV는 유럽식 전송방식(DVB-T2)을 따르지만 지상파 UHD 방송은 미국식(ATSC 3.0)이다. 지상파 UHD의 전파를 잡아주는 전용 안테나 역시 갖춰야 한다.

지난 2월 이후 UHD TV를 샀다면 기술표준은 걱정 없지만 전용 안테나는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이밖에 일반 HD TV나 브라운관TV를 가지고 있고 케이블TV 또는 IPTV에 가입해 UHD셋톱박스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는 미국식 UHD TV를 다시 사고 전용 안테나도 준비해야 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내달부터 한 달간 자사의 유럽식 UHD TV에 장착할 수 있는 컨버터를 기존가 6만9900원보다 할인된 3만9900원에 판매하지만 소비자가 추가 구매를 해야 한다는 건 변함없는 사실이다.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정부와 제조사, 지상파 방송사들이 논의했다면 UHD 방송장비에 대한 소비자 부담을 한층 더 줄일 수 있었을 것이란 아쉬움이 나오는 상황이다.

현재 UHD TV 보유 가구가 극소수라는 점도 문제다. 방통위의 ‘2016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보고서에 따르면 UHD TV 보유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 중 2.5%에 불과하다. 특히 가구 월 소득이 100만원,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보유율은 각각 0.8%, 1.3%다. 전국에서 지상파 UHD 방송이 송출되는 2021년까지 3년 이상 남았지만 초반 실효성은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가 지상파 UHD방송을 그간 지상파 방송처럼 무료 보편적서비스로 제공하려면 곳간을 털어야 할 수도 있다. 정부는 지상파 UHD방송 추진을 밀어붙이면서 국가재정 실익을 포기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정부는 경매에 붙이면 최대 가치가 1조원대인 700㎒ 주파수를 UHD 방송용으로 2015년 지상파 방송사들에게 무료로 배분해줬다.

케이블TV 방송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지상파 UHD 방송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 아래 본방송을 추진하고 있지만 방송 제작, 전송 수단, 수신 수단 3가지 중 제대로 된 것이 하나도 없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 같은 비판을 모두 감안하고 정책을 추진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UHD 생태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가 주도적으로 일찌감치 정책을 추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정민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부가 그런 비판과 상황을 모를 리 없다. 다 알고 있지만 UHD 방송시장 선점을 위해 감안하고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또 정부가 일정을 잡아놓고 정책을 추진하면 관련 업계들이 따라올 수밖에 없는데 그 과정에서 기술이 발전하는 효과도 있다. 제조사들이 최근 컨버터를 내놓은 것도 5월 말 본방송 시작이라는 일정이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김승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