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8일 일요일

  • 서울 14℃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0℃

  • 강릉 16℃

  • 청주 12℃

  • 수원 10℃

  • 안동 1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0℃

  • 전주 13℃

  • 광주 10℃

  • 목포 12℃

  • 여수 15℃

  • 대구 14℃

  • 울산 13℃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2℃

금융당국 ‘지배구조 손질’ 속공에 금융권 ‘좌불안석’

금융당국 ‘지배구조 손질’ 속공에 금융권 ‘좌불안석’

등록 2017.12.15 17:12

정백현

  기자

금감원, KB·하나지주에 경영유의 조치금융권 “이렇게 빨리 나설 줄 몰랐다”지주 산하 은행·보험사 대책 마련 부심

민간 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에 대한 금융당국의 손질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권 전반이 당국의 향후 행보에 긴장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4일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 대상의 경영 실태 평가 제재안을 발표했다. KB금융지주는과 하나금융지주는 각각 5건과 7건의 경영유의 조치를 받았다. 경영유의 조치는 해당 사안에 대해 금융기관 스스로 주의할 것을 당부하는 행정지도적 조치다.

이들 금융지주사가 받은 공통적인 지적으로는 ▲승계 절차 투명성 제고 ▲사외이사 선임·평가절차 개선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 내실화 등이 있었다. 최근 들어 당국이 수차례 지적했던 CEO 셀프 선임 논란 등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반복적으로 꼬집은 것이다.

쉽게 말해 이번 조치는 당국이 직접 칼을 뽑기 전에 금융회사가 스스로 알아서 규정을 손질하라는 의미가 담긴 셈이다. 그 말은 금융회사가 해당 규정에 대한 자체 개정을 하지 않는다면 당국이 언제든 직접 철퇴를 가할 수 있다는 점과도 맥을 같이 한다.

이 같은 당국의 빠른 움직임에 금융회사들은 당혹해하면서 잔뜩 긴장하고 있다. 당국이 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해 어떻게든 직·간접적으로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는 충분히 예상하고 있었지만 이렇게 빨리 행동에 나설 줄은 몰랐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권 전반에서 불투명한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당국이 이렇게나 빨리 지적한 것은 조금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국의 의중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현직 회장이 차기 회장 후보에 오르면 임원후보추천위원회 내 의결권을 제한하거나 임추위 구성원에서 자동 제외되는 제도적 장치가 존재함에도 이처럼 채찍을 가한 것은 과도한 간섭이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다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금융회사가 스스로 이 문제를 정리하는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다른 금융기관이 얻게 될 피해가 적다는 해석이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당국의 지적이 과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빨리 문제를 해결해서 당국과 국민으로부터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상당한 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바꿀 수 있는 일이라면 바꿔야 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제 금융권 내 CEO 선임 구조 개편에 대한 긴장감은 지주사를 넘어 각 지주사 산하 은행, 보험 등 자회사로 번져가고 있다. 특히 어느 금융그룹의 자회사가 가장 먼저 당국의 화살을 맞느냐가 업계 전체의 관심거리다.

자회사들 역시 지주사 회장 선임 과정과 마찬가지로 CEO 선임 과정에서 임원후보추천위를 구성·가동하고 있는데 자회사들의 임추위 역시 사내이사인 현직 자회사 CEO나 지주사 회장이 임추위 구성원으로 소속된 곳이 꽤 있기 때문이다.

지주사들에 내려진 당국의 철퇴가 이들 자회사에 내려지지 말라는 법이 없으므로 각 자회사들도 향후 당국의 행보에 크게 긴장하고 있다.

한 은행의 관계자는 “자회사에서도 현직 자회사 CEO 또는 지주회사 회장의 임추위원 동시 참여나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 부재의 경우 등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상위 조직인 지주회사의 개선 움직임에 따라 후속 대안을 생각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도 사외이사 주축으로 CEO를 선임하고 있는데 객관성 강조를 위해 사외이사들의 힘이 과해지고 지주사 회장과의 연관 관계를 물고 늘어진다면 조직을 잘 알고 있는 유력 임원이 CEO 후보에서 탈락하고 그로 인해 경영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