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18℃

  • 인천 18℃

  • 백령 11℃

  • 춘천 22℃

  • 강릉 20℃

  • 청주 20℃

  • 수원 15℃

  • 안동 2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2℃

  • 전주 19℃

  • 광주 18℃

  • 목포 16℃

  • 여수 18℃

  • 대구 24℃

  • 울산 17℃

  • 창원 21℃

  • 부산 18℃

  • 제주 16℃

KB국민은행 상임감사 2년째 공석···숨은 의도 있나

KB국민은행 상임감사 2년째 공석···숨은 의도 있나

등록 2017.03.21 08:21

신수정

  기자

금융권 KB사태 트라우마 원인 해석이 지배적윤종규 회장(은행장 겸직) 지배력 강화 시각도

사진=뉴스웨이DB사진=뉴스웨이DB

KB국민은행(이하 국민)이 내부통제의 총 책임자인 상임(상근)감사위원 자리를 2년간 공석으로 비워두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상임감사위원의 긴 공백이 내부감시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KB사태’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부통제 수장 ‘상임감사’ 2년째 공석=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정병기 전 상임감사가 사퇴한 뒤 상임감사가 2년 넘게 비어있는 상태다. 국민은행은 “조직과 융화될 수 있고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라면 언제든 모실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상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를 설치한다면 상임감사를 반드시 둘 필요는 없다. 그러나 KEB하나·우리·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모두 상임감사를 유지하고 있다. 은행업이 영리성 외에도 공공성과 안정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는 특수산업인 만큼 내부통제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자산 규모 5조원 이상인 은행과 증권사, 여전사 등이 의무적으로 감사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한 법의 취지 역시 이와 상통한다.

일반적으로 상임감사위원은 회계와 업무에 대한 감사업무의 총 책임자다. 재무 또는 회계 감사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말하는 내부통제 업무에 깊게 관여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매번 위원회를 개최해 업무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상시감시를 위해 상임감사위원을 두고 있다”며 “감사부의 수장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내부통제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사태’ 트라우마 아직까지=금융권에서는 국민은행이 상임감사위원 임명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KB사태’에 대한 트라우마에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시각이다. ‘KB사태’ 촉발에 큰 영향을 준 정병기 전 KB국민은행 상임감사위원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2014년 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재직한 정 전 상임감사위원은 2014년 선임 직후 자신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다. 특히 은행장에게 올라가는 모든 결제 서류가 상임감사위원을 반드시 거치도록 직무규정을 개정했다. 당시 국민은행 안팎에서는 정 전 상임감사위원의 입김 강화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KB사태 이후 국민은행은 직무규정을 재개정하며 상임감사의 사전감사권 적용대상을 기본사업계획 수립, 이사회 결의안, 직원 상벌, 예산 전용 등으로 제한했지만 당시 상흔이 커 상임감사위원을 공석으로 두고 있다는 것이다.

◇윤종규 KB금융 회장의 ‘악어의 눈물’ = 일각에서는 상임감사위원의 긴 공백이 윤종규 KB금융 회장 겸 은행장의 지배력 강화 방안의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KB사태가 지배구조의 취약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던 사건이었던 만큼 윤 회장은 지배력 강화에 힘써왔다. 우선 윤 회장은 자신의 임기 내내 금융지주와 은행장을 겸직하고 있고 지난해 말 자산관리(WM)와 투자은행(CIB)부문에서의 지주, 은행, 증권의 3사를 겸직 하는 매트릭스 체제를 도입했다. 이는 지주회사 임원이 자회사의 상근 임원을 맡아 인사권과 조직관리를 지휘하게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과거 KB카드의 성과연봉제 도입 시 KB카드 노조가 윤종규 회장이 KB금융지주 회장과 KB국민은행 행장을 겸임하면서 KB금융그룹 내의 모든 사안에 보고받으며 경영과 노사관계에 개입하고 있다고 성토하기도 했던 만큼 지배구조 강화에 대한 빛과 그림자는 더욱 짙어질 것으로 보인다.

뉴스웨이 신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