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23℃

  • 인천 19℃

  • 백령 14℃

  • 춘천 28℃

  • 강릉 24℃

  • 청주 25℃

  • 수원 21℃

  • 안동 28℃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6℃

  • 전주 23℃

  • 광주 24℃

  • 목포 19℃

  • 여수 22℃

  • 대구 28℃

  • 울산 19℃

  • 창원 24℃

  • 부산 20℃

  • 제주 20℃

지구촌 ‘유동성 파티’는 끝났다

[데스크칼럼]지구촌 ‘유동성 파티’는 끝났다

등록 2014.01.01 06:00

수정 2014.02.25 11:27

서영백

  기자

지구촌 ‘유동성 파티’는 끝났다 기사의 사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1월부터 재무부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규모를 월 850억달러에서 750억달러로 100억달러(약 10조5000억원)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달러를 풀어 허약한 실물경제를 받쳐왔지만 이제는 돈줄을 죄겠다는 뜻이다. 연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되자 이듬해부터 지금까지 3조달러(약 3160조원)가 넘는 천문한적인 돈을 시장에 풀어왔다.

유럽과 일본은 “양적 완화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표명했지만 이들 국가도 자국과 세계 경제의 움직임을 살피며 축소의 시기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반응은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인식 때문에 미국의 출구전략 가동을 차분하게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예고된 악재는 악재가 아니라는 증시 격언을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5년간 유동성 파티에 익숙한 세계 경제로서는 긴축정책이 본격화하면 실물과 금융 전반에 걸쳐 몸살을 앓을 소지가 다분하다. 그중 신흥국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소지가 크다. 최근 수년간 미국의 양적완화를 배경으로 신흥국에 유입된 자금이 양적완화 축소에 따라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의 투자자들이 신흥국 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하면서 자연히 해당국 주식·외환시장이 위축되고 경기가 얼어붙을 수 있다. 신흥국은 자금 유출을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고 이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취약한 경제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하게 된다.

실제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최근 사설에서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진단하면서도 지금은 비정상적인 상황임을 고려해야 하며 변동성 증가로 신흥경제국의 시장 혼란이 우려된다고 지적한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물론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가 단계적으로 이행될 것이라고 밝힌 만큼 급격한 유동성 위축은 야기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문제는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국의 출구전략 가동이 일찌감치 예고된 사안이라 하더라도 일정 부분 후유증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정부는 양적완화의 충격파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는 모양이다. 연준의 조치가 어느 정도 예견됐으며 우리 경제의 체력도 많이 좋아졌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양적와환의 부작용은 이제 시작일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당장 세계 금융시장에서 달러가 물밀듯 빠져나갈 경우 그 충격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이번 조치가 아시아·중남미 신흥 경제권의 금융위기로 확산될 경우 그 파장은 걷잡을 수 없게 된다.

우리가 미국 경제 회복에 따른 반사이익만 낙관할 시점이 아닌 것이다. 미국 경제가 살아나더라도 신흥국 시장이 위축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금리가 오르면 한계기업이 늘어나고 가계부채의 이자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이다.

최근 자금시장의 지표는 고삐 풀린 망아지 그 자체다. 6개월 이내에 언제 어디든 움직일 수 있는 단기 부동자금이 800조원에 이르고, 가계부채는 100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는 경기 상황에 대한 정부의 면밀한 대응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내수와 수출이 동반 부진에 빠질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서영백 자본시장부국장 young@

뉴스웨이 서영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