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13℃

  • 인천 9℃

  • 백령 9℃

  • 춘천 10℃

  • 강릉 18℃

  • 청주 13℃

  • 수원 10℃

  • 안동 1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1℃

  • 전주 12℃

  • 광주 10℃

  • 목포 12℃

  • 여수 13℃

  • 대구 14℃

  • 울산 13℃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5℃

굿 바이 초저금리···신흥국 긴축 공포

[글로벌 금리 전쟁]굿 바이 초저금리···신흥국 긴축 공포

등록 2017.07.11 08:16

차재서

  기자

연준·ECB 연이은 통화긴축에 긴장↑ 외환 보유액 충분 우려↓

주요국을 중심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신흥국 사이에 긴축 후폭풍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신흥국이 그간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쌓아둔데다 오랜 불황을 거치며 위기에 대처할 기초체력을 길러온 만큼 2013년의 ‘긴축발작’은 되풀이되지 않을 전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 이어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통화긴축을 시사하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이어진 초저금리, 양적 완화 기조가 변화를 맞고 있다.

연준은 올 3월 한 차례 기준금리를 올린 데 이어 지난달 또다시 금리를 0.25%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의 기준금리(1.25%)와 비슷한 1.0~1.25%로 상향됐다. 여기에 연준이 올해 3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만큼 연내 추가 인상이 없다고 장담하긴 어렵다는 게 외부의 시각이다.

또한 경제 회복세에 맞춰 정책 수단의 매개변수를 조정하겠다는 드라기 총재의 이번 발언도 유럽의 양적완화 기조에 변화가 올 수 있다는 신호로 읽히고 있다.

문제는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이다. 통상적으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긴축 정책이 신흥국에서의 외국인 자금 이탈을 가속화시키면서 경제불안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97년 아시아 전반에 들이닥친 외환위기가 대표적이다. 당시 태국이 바트화의 고정환율제를 폐기하면서 시작된 금융위기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됐다. 바트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현지 기업의 외채상환 부담이 가중될 것을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로부터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 사태가 빚어진 게 원인이었다. 한국도 민간 은행을 중심으로 외환보유액이 고갈되면서 외환위기를 피할 수 없었다.

이어 2013년에도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하자 신흥국의 통화가치와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긴축발작’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그나마 다행스런 부분은 최근에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예측가능한 범위에서 이뤄진다면 신흥국이 충분히 견뎌낼 것이란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점이다.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증가했고 글로벌 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하고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블룸버그는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등 아시아 5개국의 5월 기준 외환보유액이 6조달러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1996년에는 1조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던 이들 국가의 외환보유고가 20년 사이 6배 이상 성장한 것이다.

한국은행 자료에서도 우리나라의 6월말 외환보유액은 사상 최대치인 3805억7000만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외화자산 운용수익과 유로화 등 기타통화 표시잔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는 2011년 9월 3033억달러로 3000억달러선을 넘어선 이후 성장을 거듭해왔다.

물론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주요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로 해외 자본이 이탈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한국 역시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으로 미국과의 금리 역전 현상이 일어나면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아울러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이 타격을 받거나 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수 있다는 것도 변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앞선 경제동향간담회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 유동성이 축소되면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확실한 대비태세가 필요하다”면서 “주요국 통화정책 추이와 글로벌 자금이동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