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5℃

  • 인천 6℃

  • 백령 6℃

  • 춘천 5℃

  • 강릉 8℃

  • 청주 6℃

  • 수원 5℃

  • 안동 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6℃

  • 전주 6℃

  • 광주 7℃

  • 목포 8℃

  • 여수 9℃

  • 대구 6℃

  • 울산 7℃

  • 창원 7℃

  • 부산 9℃

  • 제주 7℃

DGIST 이호춘 연구팀, 폐열 활용한 하이브리드 열전지 개발

DGIST 이호춘 연구팀, 폐열 활용한 하이브리드 열전지 개발

등록 2021.10.15 18:11

강정영

  기자

왼쪽부터 에너지공학전공 강준식 석·박사통합과정생, 이호춘 교수(사진제공=DGIST)왼쪽부터 에너지공학전공 강준식 석·박사통합과정생, 이호춘 교수(사진제공=DGIST)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전공 이호춘 교수 연구팀이 폐열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효율이 대폭 개선된 전기화학 열전지를 개발했다.

산업 공정, 지열, 및 인체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지만, 200℃ 이하 중저온 폐열은 버려지는 것이 당연시 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지속가능한 청정 에너지원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됐다.

폐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방법은 전기화학 열전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열전소자와 비교하여, 높은 제베크 효과, 낮은 재료 및 공정비용, 및 전지 설계 유연성의 장점을 가진다.

전기화학 열전지는 P형과 N형으로 구분되는데, 열전지가 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십~수백개의 열전지소자들을 직·병렬 연결한 모듈을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P형에 비해 N형 열전지의 성능이 현저히 낮아서, N형 열전지 성능에 의해 전체 모듈의 성능이 제한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N형 열전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농도차 전지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열전지를 고안했다. 농도차 전지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열전지는 고온부에서만 요오드 이온이 소모되므로 고온부-저온부의 요오드 이온의 농도차이가 발생하는데, 이 농도차는 형성된 탄산 리튬층에 의해 장시간 유지되면서 추가 기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저온 및 고온를 기준으로 기존 N형 열전지와 제베크 효과에 따른 전압을 비교해본 결과, 기존 N형 열전지의 제베크 상수가 +2 mV/K 이하인 반면, 이번에 개발한 하이브리드 열전지는 +7.7 mV/K 의 높은 제베크 상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열-전기변환 효율을 구현해 사상 최고 효율을 가진 N형 열전지를 개발하게 됐다.

이호춘 교수는 “하이브리드 열전지의 제베크 상수와 열-전기변환 효율은 이제까지 보고된 N형 열전지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이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현재 다소 부족한 하이브리드 열전지의 내구성을 개선하게 되면, 폐열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철 기자 newswaydg@naver.com


뉴스웨이 강정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