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6℃

  • 백령 6℃

  • 춘천 7℃

  • 강릉 10℃

  • 청주 8℃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8℃

  • 전주 8℃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1℃

  • 대구 9℃

  • 울산 11℃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9℃

주총 앞둔 신한금융 ‘이사회 재편 딜레마’에 속앓이

주총 앞둔 신한금융 ‘이사회 재편 딜레마’에 속앓이

등록 2021.02.19 13:32

수정 2021.02.19 14:45

정백현

  기자

지난해 유증 통해 외국계 PEF 2곳 주주로 영입이사진 15명으로 늘면 재일교포 이사 비중 줄어금융당국 “재일교포 이사 수 줄여라” 지속 권고교포 몫 줄이자니 창립주주 강력 반발이 걸림돌안정적 지배구조 구현 위한 ‘달래기 전략’ 필요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를 앞둔 신한금융지주가 이사회 재편 문제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새로운 외국인 주주 몫의 사외이사를 새롭게 충원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배구조의 든든한 축인 재일교포계 사외이사 수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다.

신한금융은 오는 3월 말 정기주주총회를 연다. 조용병 회장의 연임안을 의결했던 지난해 주총과 달리 올해는 대형 이슈 없이 조용한 분위기에서 주총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주총에서 가장 주목할 사항은 역시 이사 선임안이다. 지난해 신한금융의 유상증자로 새롭게 주요 주주가 된 전략적투자자(SI) 몫의 이사가 추가되면서 40%로 고정됐던 재일교포 이사진의 규모가 축소 여부가 최대 관건이다.

우선 사내이사 중에는 기타비상무이사의 재선임과 신규 선임이 예정돼 있다. 지난해 말 2년 연임이 결정된 진옥동 신한은행장의 기타비상무이사 재선임이 사실상 확정적이다.

다른 기타비상무이사인 필립 에이브릴 일본 BNP파리바증권 이사는 2015년부터 신한금융에서 이사로 일했기에 최장 6년으로 제한한 이사 재직 연한을 채우게 돼 물러날 상황이 됐다. 에이브릴 이사는 신한금융 지분 3.5%를 보유한 BNP파리바의 몫으로 임명된 이사였다.

에이브릴 이사 외에도 이사회 의장을 맡았던 박철 이사와 히라카와 유키 이사 등 2명의 사외이사도 6년의 재직 연한을 모두 채우게 됐다. 이중 히라카와 유키 이사는 재일교포다.

주총 앞둔 신한금융 ‘이사회 재편 딜레마’에 속앓이 기사의 사진

현재 신한금융 이사회는 총원 13명의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사내이사인 조용병 회장과 기타비상무이사 2명, 사외이사 10명이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4대 금융지주 중에서는 이사회 규모가 가장 크다.

사외이사는 주주 추천으로 후보가 결정되고 큰 결격사유가 없는 한 그 후보들이 사외이사에 오른다. 현재 신한금융 사외이사 10명 중 4명은 신한금융의 창립 주주이자 약 17%의 지분을 쥔 재일교포 측 추천 이사들이다.

사외이사 중 유일한 교체 대상인 히라카와 유키 이사의 빈자리는 역시나 재일교포 측이 추천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임기가 끝난 재일교포 출신 이사가 나오면 한국과 일본에서 명망을 쌓아온 교포 경영인들이 새로운 사외이사에 선임되는 전통이 유지돼왔다.

다만 이미 여러 차례 재일교포 이사 문제가 지적된 것은 옥의 티였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17년 9월 재일교포 이사의 전문성 부족과 선임 과정 문제를 꼬집으며 신한금융에 경영 유의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재일교포 이사 수를 줄이라는 사실상의 엄포였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조치 이후에도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신한금융은 재일교포 이사 선임 과정에 흠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교포 사회 안팎에서 투명한 검증과 추천 절차를 거친 만큼 문젯거리가 될 것은 없다는 뜻이다. 신한금융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일본 사람들도 상대하기 어렵다고 깐깐하다고 소문난 교포들인데 아무나 이사로 뽑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더구나 지난 40년간 신한금융의 존재와 발전에 큰 자부심을 느껴온 재일교포 주주들이기에 재일교포에 주어진 이사 몫을 함부로 줄이기는 어렵다.

그런데 올해 돌발 변수가 생겼다. 다른 외국인 주주들이 주요 주주로 등장하면서 이들에게도 사외이사 자리를 줘야 하기 때문이다. 이사회 총원을 늘리면서 새 주주들의 자리를 배정한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이사회 총원을 그대로 둔다면 상당한 고민거리가 된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9월 1조158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는데 이때 SI로서 유증에 참여한 아시아권 대형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가 각각 3.96%와 3.62%의 지분을 갖게 됐다. 올해부터는 이들 몫의 이사도 포함돼야 한다.

신한금융 측은 이사회 총원 확대에는 절차상 큰 문제가 없기에 15명 체제로 가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물론 전체 규모가 커졌기에 이사들에게 지급하는 보수 규모의 증가가 걸림돌이지만 주총에서 이사 보수 규모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주주는 많지 않았다.

결국 이사 총원이 15명으로 2명 늘어나면 재일교포 주주 수는 현재의 4명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사모펀드 측이 재일교포 이사를 택한다면 더 늘어날 수도 있겠지만 최근의 여건을 고려할 때 홍콩계 인사들이나 국내 경제 전문가를 이사 후보로 낼 가능성이 더 크다.

재일교포 이사진을 그대로 둬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금융당국이 과거부터 꾸준히 재일교포 이사 문제를 지적했음에도 달라진 것이 딱히 없었던 만큼 이번에도 재일교포 이사 선임 문제를 그대로 묵인한다면 당국 차원에서 제재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한금융 내부의 고민은 또 있다. 비(非)재일교포 이사들의 세가 커짐에 따라 덩달아 커질 수 있는 재일교포 주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떻게 해소하느냐다.

신규 주주 몫의 사외이사가 들어오면 재일교포 이사 비중은 40%에서 33%로 줄어든다. 반대로 비교포 이사 비중은 60%에서 67%로 늘어난다. 자연스레 교포의 목소리보다 다른 주주들의 목소리가 커지게 된다. 창립 주주인 재일교포 처지에서는 꽤 아쉬울 만한 부분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신한금융은 소위 ‘주인 없는 회사’로 꼽는 다른 금융지주와 달리 창립주주인 재일교포가 중심에 선 독특한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기에 이사회 운영에 대한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며 “기존 재일교포 주주들을 어떻게 잘 달래며 이사회를 운영하느냐가 앞으로의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