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8일 목요일

  • 서울 10℃

  • 인천 11℃

  • 백령 7℃

  • 춘천 9℃

  • 강릉 10℃

  • 청주 10℃

  • 수원 10℃

  • 안동 8℃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10℃

  • 전주 10℃

  • 광주 11℃

  • 목포 11℃

  • 여수 12℃

  • 대구 10℃

  • 울산 13℃

  • 창원 12℃

  • 부산 12℃

  • 제주 12℃

3월 주총 앞둔 재계···눈여겨볼 주요 현안은?

3월 주총 앞둔 재계···눈여겨볼 주요 현안은?

등록 2021.02.17 14:32

이지숙

  기자

전자투표제 이어 온라인 주총 도입 활발삼성, 주총 통해 이재용 재수감 입장 표명 여부 관심LG그룹 계열분리·LG전자 합작법인 설립 주요 안건

3월 주총 앞둔 재계···눈여겨볼 주요 현안은? 기사의 사진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재계 주요 기업들이 주총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특히 올해 주총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2년째 지속되며 온라인 주총과 전자투표제를 도입하는 곳이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개인 주주들의 참여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의 경우 지난해 12월 준법감시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지난달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삼성물산 등 5개사가 올해 주총부터 온라인 주총을 병행해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3월 17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52기 정기 주총을 개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아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전자투표 제도를 도입했으며 올해 처음으로 온라인 중계를 진행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주주는 지난해 말 기준 215만4081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3월 초 삼성전자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중계 사전 신청 안내가 있을 예정이며 주주들은 별도로 마련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중계 참여를 신청하고 안건별 질문도 사전 등록할 수 있다.

LG그룹도 이번 3월 주주총회부터 13개 상장 계열사 모두 전자투표제를 도입한다. 지난해 LG화학과 로보스타가 전자투표제를 도입했으며 올해부터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생활건강 ▲LG하우시스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LG상사 ▲지투알 ▲실리콘웍스 등 나머지 11개 상장 계열사들가 전자투표제 시행을 결정했다.

SK그룹은 지난해 SK텔레콤이 처음으로 온라인 주총을 병행한 데 이어 올해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이 도입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도 온라인 주총 생중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 밖에도 올해 주총에서는 각 기업 별로 굵직한 안건이 논의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법정 구속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언급이 있을지 주목된다. 이 부회장 변호인단이 국정농단 사건 최종 판결 후 재상고를 하지 않기로 한 뒤 삼성은 언론에 “별도 입장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에도 삼성은 총수 재수감에 대해 아직까지 주주들에게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LG그룹의 경우 지난해 11월 이사회를 통과한 계열분리 안건이 주총 주요 안건으로 오른다. 지주사 LG는 지난해 11월 26일 이사회에서 인적분할을 통해 ㈜LG신설지주를 설립하기로 결의했다. 분할기일은 오는 5월 1일이며 LG신설지주는 LG상사(자회사 판토스 포함), LG하우시스, LGMMA, 실리콘웍스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LG신설지주는 새로운 이사진을 구성하고 독립경영 체제로 운영된다.

단 일부에선 반대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미국 행동주의 헤지펀드 화이트박스 어드바이저는 지난해 12월 LG그룹에 서한을 보내 “최근 발표된 LG의 계열분리 계획은 소액주주들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실패할 것”이라며 “LG는 현재 순자산가치의 69% 수준인 주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화이트박스는 3년간 LG의 지분 약 1%를 보유해왔다.

LG전자의 경우 캐나다 자동차부품기업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가칭) 설립 승인 안건을 주총에서 다룰 예정이다.

한편 올해 주총에서는 변화된 상법 개정안 적용도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지금까지 감사위원 선출 때 이사를 먼저 뽑은 뒤 그 중에서 감사위원을 선출했으나 올해부터는 감사위원 1명 이상을 이사와 별도로 분리해 선출해야 한다. 이 때 의결권은 사외이사를 겸하는 감사위원을 뽑을 때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에게 각각 3%씩 부여되고, 사외이사를 겸하지 않는 감사위원 선출 시에는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쳐 3%로 제한된다.

올해의 경우 삼성전자가 김선욱 사외이사의 감사위원 재선임 안건을 상정했으며 현대자동차, LG전자,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등도 감사위원 1명 이상을 새로 선임해야 하는 상황이다.

당장 감사위원 선임 문제가 경영권 위협으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기업들의 고민은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주주들의 폭 넓은 지지를 얻을 수 있는 후보를 미리 확보해야 하는 등 준비에 어려움이 크게 늘었다”며 “당장 감사위원 선임에 따른 문제가 나타나진 않겠지만 분리선출 제도로 주주제안이 활발해지며 분쟁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이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