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5일 목요일

  • 서울 19℃

  • 인천 17℃

  • 백령 12℃

  • 춘천 21℃

  • 강릉 24℃

  • 청주 22℃

  • 수원 20℃

  • 안동 23℃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23℃

  • 전주 23℃

  • 광주 22℃

  • 목포 17℃

  • 여수 19℃

  • 대구 25℃

  • 울산 19℃

  • 창원 22℃

  • 부산 19℃

  • 제주 18℃

DGIST, 고효율 발광 신기술 개발... 웨어러블 섬유 등 기대

DGIST, 고효율 발광 신기술 개발... 웨어러블 섬유 등 기대

등록 2020.03.25 17:30

강정영

  기자

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정순문 책임연구원(좌)과 에너지융합연구부 송성규 전임연구원(사진제공=DGIST)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정순문 책임연구원(좌)과 에너지융합연구부 송성규 전임연구원(사진제공=DGIST)

DGIST(총장 국양) 에너지융합연구부 정순문 박사 연구팀은 새로운 구조의 발광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전광판과 현수막처럼 다양하게 활용되는 발광소자 효율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발광소자는 발광층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극이 필요하다. 이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평면전극’은 전극이 발광층을 둘러싼 코플라너 구조(Coplanar Structure)로 돼있다.

이는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이 전극에 가려 소실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극의 유연성이 많이 떨어져 유연하면서도 빛을 일정하게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제작하는데 장애물이기도 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정순문 박사팀은 기존의 발광소자와 다르게 발광층 내부에 섬유로 된 새로운 종류의 전극을 교차삽입시켰다.

그리고 교차삽입한 전극에서 발광층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In-Plane 전계를 이용하는 새로운 발광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제작된 발광소자는 기존의 발광소자보다도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빛을 내도록 해 효율성을 대폭 개선했다.

정 박사팀은 In-Plane 전계를 이용함과 동시에 함께 발광층에 황화아연(ZnS)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이용한 새로운 발광필름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기계적인 힘을 가해 빛을 발생시키는 기계적 발광(ML)과 전계를 작용시켜 빛을 발생시키는 전계발광(EL)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기존의 발광소자에서는 불가능했던 것으로, 다양한 환경에서도 빛의 세기가 일정하고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개발된 발광소자는 기존의 발광소자가 갖는 여러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했다.

먼저 정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발광소자 구조는 전극을 발광층 내부로 삽입시켜 전극이 발광층의 빛을 가리는 기존 발광소자의 단점을 해결했다. 이로써 발광소자의 빛 세기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두꺼운 전극이 도리어 그 사이에 있는 발광층의 빛을 더 가리는 단점도 한꺼번에 해결했다.

홍성철 기자 newswaydg@naver.com


뉴스웨이 강정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