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5일 목요일

  • 서울 16℃

  • 인천 14℃

  • 백령 10℃

  • 춘천 18℃

  • 강릉 20℃

  • 청주 18℃

  • 수원 15℃

  • 안동 18℃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8℃

  • 전주 17℃

  • 광주 17℃

  • 목포 13℃

  • 여수 16℃

  • 대구 21℃

  • 울산 16℃

  • 창원 18℃

  • 부산 18℃

  • 제주 14℃

中 ‘사드 보복’ 에 국내 유통공룡 초긴장 ‘발만 동동’

中 ‘사드 보복’ 에 국내 유통공룡 초긴장 ‘발만 동동’

등록 2017.02.23 08:54

수정 2017.02.23 10:19

이지영

  기자

중국인 고객 80% 차지하는 면세점 업계도 비상

사진=정혜인 기자 hij@newsway.co.kr사진=정혜인 기자 hij@newsway.co.kr

한국 내 사드(THAD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임박한 가운데 중국의 보복성 조치와 압박이 예고되면서 중국서 수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국내 유통공룡들이 초긴장 하고 있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의 경우 중국 현지에서 연 3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다, 현재 수 조 원대의 대형 복합몰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된다.

중국인 매출 의존도가 80%에 이르는 면세점업계나 약 20년 동안 중국에서 대대적 사업을 벌여온 이랜드 등도 속이 타기는 마찬가지다.

롯데 성주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는 이사회 결의를 앞두고 중국 언론들의 ‘롯데 때리기’ 수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 21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사평에서 “롯데가 입장을 바꿀 수 없다면 중국을 떠나야 한다”며 “롯데의 면세점 수입을 비롯한 영업 전망이 점점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1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롯데그룹이) 지역 관계를 격화시킬 수 있는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롯데는 1994년 롯데제과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유통·화학·관광 등의 업종에서 롯데 계열사의 중국 시장 진출이 이어졌다. 그 결과 현재 24개 계열사가 중국에서 사업 중이고, 현지에 모두 2만여 명에 이르는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유통의 경우 현지에서 수 천억원의 적자를 내며 ‘쓴맛’도 봤지만, 아직 중국 내 약 120개 점포(백화점 5개·마트 99개·슈퍼 16개)를 운영하고 있다.

롯데시네마도 현재 12개 점, 90여 개 상영관을 운영하고 있고, 롯데제과·롯데칠성·롯데케미칼·롯데알미늄 등도 모두 중국 내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이들 유통·제과·화학 등 계열사의 중국 현지 매출은 한 해 약 3조2천억 원에 이른다.

중국에서 롯데가 추진하는 쇼핑·레저 기능을 결합한 복합단지, 복합몰 건설 프로젝트도 사드 논란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 인허가 과정이 까다로운데, 중국 당국이 고의로 규제에 나설 경우 추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롯데자산개발 등은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중국 청두(成都)에 연면적 57만㎡ 규모의 복합상업단지 ‘롯데월드 청두’를 짓고 있고, 선양(瀋陽)에서도 테마파크(롯데월드 선양)·쇼핑몰·호텔·아파트 등을 모아 ‘롯데타운’을 건설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미 이번 겨울 들어 롯데월드 선양 공사가 중단된 것을 두고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롯데 측은 중국 당국이 직접 전면에 나서지 않고 중국 소비자들이 ‘불매운동’ 형태로만 반발해도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본격적으로 한국행 관광객을 제한할 경우 가장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는 업종은 면세점이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지난해 시내면세점 매출 가운데 무려 80%가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했다.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본점의 지난해 매출 3조1600억원가운데 2조6000억원 가량이 중국인 관광객 지갑에서 나왔다. 서울 장충동 신라면세점 역시 지난해 매출의 80% 이상이 중국인 구매에 따른 것이었다.

1994년 상하이(上海)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래 23년 동안 중국 사업을 키워온 이랜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이랜드는 현재 패션 부문에서만 중국에서 스파오(SPAO)·미쏘(MIXXO)·슈펜(SHOOPEN) 등 44개 브랜드의 7천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진출한 유통 부문까지 더해 중국 현지 한 해 매출은 무려 2조7000억원에 이른다. 아직 대부분의 중국 매출은 패션 부문에서 나오는데, 현재 국내 이랜드의 패션 매출(2조원)과 비교해 중국 매출이 훨씬 크다.

뉴스웨이 이지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