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4일 수요일

  • 서울 13℃

  • 인천 11℃

  • 백령 9℃

  • 춘천 15℃

  • 강릉 9℃

  • 청주 15℃

  • 수원 12℃

  • 안동 15℃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5℃

  • 전주 14℃

  • 광주 14℃

  • 목포 13℃

  • 여수 17℃

  • 대구 17℃

  • 울산 14℃

  • 창원 18℃

  • 부산 16℃

  • 제주 14℃

‘세계 No.1’ 반도체 코리아, 中華 바람을 넘어라

[포커스]‘세계 No.1’ 반도체 코리아, 中華 바람을 넘어라

등록 2015.10.26 08:51

수정 2015.10.28 16:04

정백현

  기자

호황 누리고 있지만 中·臺 업체 협공 거세중화권 업체, 자본·기술·판매 잠재력 충분고부가 첨단 제품으로 위기 정면돌파 필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낸드플래시 제품을 들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낸드플래시 제품을 들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세계 1위의 기술력을 갖춘 대한민국 반도체업계가 거센 풍랑에 맞서고 있다. 막대한 자본과 뛰어난 잠재력을 앞세운 중국과 대만 등 중화권 반도체 업체들이 맹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반도체업계는 사상 처음으로 연간 영업이익 15조원 돌파가 유력하게 전망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5년 만에 반도체 사업부문 연간 영업이익이 10조원에 복귀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SK하이닉스 또한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나라 밖의 상황을 보면 매우 불안하다. 중화권 업체들의 추격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화권 업체들은 설계 기반과 생산 시설, 판매 시장 등을 공격적으로 늘려 가면서 세계 1위를 독주하고 있는 한국 업체들을 뒤쫓고 있다.

사실 중화권 반도체 업체들의 기술력은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한 수 아래로 평가되는 것이 현실이다. 대만의 경우 반도체 설계나 디자인(팹리스) 측면에서 세계 최상위권의 기술을 뽐낸다고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기술 자체가 조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들이 갖고 있는 자본과 잠재력을 감안한다면 조선업계와 철강업계 등에서 드러났던 한-중 역량 역전 현상이 반도체업계에서 드러나지 말라는 법이 없다.

특히 중화권 국가들이 반도체 설계나 위탁생산에만 그치지 않고 이제는 설계·디자인→생산→판매→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D램 반도체 생산을 포기하고 위탁생산(파운드리)으로 회사 경영 방향을 바꾼 대만 업체 ‘파워칩’은 중국 허페이성 정부와의 합작을 통해 12인치 LCD용 드라이버 IC칩 생산 공장(팹)을 지어 오는 2017년부터 월 4만장 규모의 웨이퍼를 생산할 계획을 내놓은 상황이다.

또 다른 대만 업체인 TSMC도 상하이 쑹장공업단지에 8인치 팹을 확보하고 매달 10만~11만장 규모의 웨이퍼를 이미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 본토 내 다른 지역에 12인치 팹을 설립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중국 메모리 시장의 구매 규모가 커졌다는 점도 우리가 우려해 볼 만한 점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중국 내 D램과 낸드플래시 구매 규모는 각각 120억달러와 66억7000만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추산됐다.

쉽게 말해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D램 10개 중 2개, 낸드플래시 10개 중 3개는 중국 업체들이 구매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에서 메모리 반도체를 주로 구매하는 곳은 레노버와 화웨이, 샤오미, TLC 등 중화권 IT 디바이스 업체들이다.

국내 업체들은 이같은 중화권 업체들의 공세를 고부가 첨단 기술 제품으로 이겨낸다는 복안을 내세우고 있다. 고부가 제품의 경우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방면인 만큼 아직까지 중화권 업체들과 기술 격차가 있기 때문에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48단짜리 낸드플래시 제품을 출시했고 SK하이닉스는 PC용 D램 비중을 줄이고 모바일 D램 중심으로 제품 비중을 조절하고 있다. 더불어 SK하이닉스의 경우 48단 TLC 제품 개발을 올해 안에 끝내고 내년 초 양산 체제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반도체업계가 가장 기대하는 부분은 3D 낸드플래시 시장이다. 이 시장은 아직까지 개척되지 않은 시장이다. 여전히 이 시장에 대한 기술 주도권은 우리나라가 쥐고 있다. 3D 낸드플래시 시장을 선점한다면 우리 반도체업계의 위상은 높아질 공산이 크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반도체업계가 중화권 업체들의 거센 도전을 이겨내려면 고도의 기술 개발이 최우선 과제”라며 “반도체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한 만큼 정부에서도 더 관심을 갖고 기술 인재와 기업 육성을 위해 더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