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 토요일

  • 서울 16℃

  • 인천 13℃

  • 백령 12℃

  • 춘천 15℃

  • 강릉 12℃

  • 청주 16℃

  • 수원 14℃

  • 안동 16℃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6℃

  • 전주 17℃

  • 광주 16℃

  • 목포 16℃

  • 여수 16℃

  • 대구 20℃

  • 울산 17℃

  • 창원 17℃

  • 부산 17℃

  • 제주 18℃

망간알로이업계 “생존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

망간알로이업계 “생존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

등록 2015.08.13 12:00

수정 2015.08.13 13:16

차재서

  기자

전기료 비중이 제조원가의 30%···국가 지원 절실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소재산업 생존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왼쪽부터)연세대 손일 교수, 이이재 의원, 최연희 (주)동부 회장, 문재도 산업부 차관, 이강후 의원, 정갑윤 국회 부의장, 이한성 의원, 송재빈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사진=한국철강협회 제공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소재산업 생존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왼쪽부터)연세대 손일 교수, 이이재 의원, 최연희 (주)동부 회장, 문재도 산업부 차관, 이강후 의원, 정갑윤 국회 부의장, 이한성 의원, 송재빈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사진=한국철강협회 제공


연이은 전기료 인상 여파로 위기에 처한 망간 알로이 업계에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3일 오전 새누리당 이강후 의원(강원 원주을)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철강협회 주관으로 망간알로이 산업 사례를 통한 국내 소재산업 생존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철강업계 및 정부 관계자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망간알로이(Mn Alloy)는 철강 제조과정에서 탈산·탈황제로 사용된다. 철강의 강도를 높이고 성형성과 경량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철강·자동차·조선·전자 등 국가 기반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에 직결된 기초소재다.

국내에서는 동부메탈, 심팩메탈로이, 동일산업, 태경산업, 포스하이메탈 등이 연간 90만톤 규모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망간알로이산업은 제조공정 특성상 전력을 다소비하는 생산구조를 갖고 있다. 통상 국내 제조업의 제조원가 중 전력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1.4%에 불과하지만 망간알로이산업은 전기비용이 제조원가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최근에는 전기료 인상 등으로 극심한 원가 압박을 받아왔다.

이날 토론회에 참가한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전기요금이 76% 오르면서 망간알로이업계가 큰 타격을 받았다”면서 “원가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 인건비 및 경비 절감 등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조원가에서 전력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다 보니 수익성을 맞추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강후 의원은 “망간알로이는 국가 기간산업 및 수출 주력업종의 경쟁력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소재임을 감안해 업계가 생존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은 송재빈 상근 부회장이 대독한 인사말을 통해 “철강을 비롯한 기초소재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급락과 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특히 망간알로이 업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2014년 업계 전체 영업이익율이 적자(-0.9%)를 기록하는 등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은 기술개발과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정부는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정책지원을 조화롭게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연세대 손일 교수도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망간알로이 산업기반이 무너질 경우 철강·자동차·조선 등 가치사슬로 연결된 국내 기간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며 “한국도 망간알로이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체제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생산기술연구원 뿌리산업진흥센터장 이상목 박사를 좌장으로, 손일 연세대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 한정환 인하대 교수, 김주한 산업연구원 박사, 최규종 산업부 소재부품정책과장 등이 패널로 참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차재서 기자 sia0413@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