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9℃

  • 백령 7℃

  • 춘천 12℃

  • 강릉 12℃

  • 청주 13℃

  • 수원 11℃

  • 안동 15℃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2℃

  • 전주 12℃

  • 광주 13℃

  • 목포 13℃

  • 여수 15℃

  • 대구 17℃

  • 울산 17℃

  • 창원 16℃

  • 부산 15℃

  • 제주 12℃

금호산업·금호고속 새 주인 찾기, 돈보다 영속성이 먼저다

금호산업·금호고속 새 주인 찾기, 돈보다 영속성이 먼저다

등록 2015.02.06 09:53

정백현

  기자

‘원래 주인’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 우선매수청구권 보유전문성 결여된 제3자 인수 시, 기업 영속성·안정성 훼손 우려업계 일각서 “돈의 논리보다 기업 가치 먼저 생각해야” 지적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핵심이자 모태기업인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이 새 주인을 찾고 있다. 과거 두 계열사를 소유했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이들 기업을 다시 되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자금력과 외부 변수의 영향 탓에 녹록치 않은 길을 걷고 있다.

6일 재계에 따르면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은 현재 매각 작업이 진행 중이다. 금호산업은 현재 인수의향서(LOI)에 대한 접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금호산업 LOI 접수는 오는 25일에 마무리되며 빠르면 오는 3월 초께 금호산업의 새 주인이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고속은 금호산업보다 먼저 매각 선상에 올랐다.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금호고속의 매각 작업은 현재 금호고속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IBK-케이스톤 사모펀드 측과 금호아시아나 간의 의견 충돌로 시끄러운 상황이다.

두 기업을 우선적으로 인수할 수 있는 권한은 박삼구 회장에 있다. 박 회장은 지난 2013년 채권단과 금호산업 경영정상화추진 약정서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금호산업의 재매각 시 우선매수청구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다. 분명 인수 작업에서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박 회장과 장남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이 현재 10.4%의 지분을 보유한 금호산업의 경우 박 회장 측이 40% 정도만 더 얻으면 금호산업의 경영권을 차지할 수 있다.

다만 박 회장의 계열사 되찾기 작업에는 자본이 적잖은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는 금호산업의 지분 가치는 5일 종가 기준으로 5227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금호산업 지분이 금호아시아나그룹과 핵심 계열사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이 맞물려있기 때문에 3000억~5000억원 수준의 프리미엄이 더 붙을 것이 유력하다. 이렇게 될 경우 금호산업의 매각대금은 최대 1조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금호고속 역시 당초 3000억원 안팎의 가격대가 책정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현재 5000억원 안팎까지 가격이 뛰어오른 상황이다. 금호아시아나 측은 “IBK-케이스톤 측이 자신들의 투자 손해를 메우기 위해 금호고속의 가격을 일부러 부풀렸다”는 주장을 거듭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 측에서는 인수자금 동원에 문제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박 회장은 지난 2010년 워크아웃 과정에서 약 3300억원의 사재를 출연했고 금호타이어 지분도 대출담보가 설정돼 있다. 그러나 그룹 측은 “돈이 나올 채널은 아직 살아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박 회장이 사재 출연 등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금호아시아나 계열사 임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금호산업 지분을 처분하면서 금호산업의 지분 가치를 떨어뜨려 박 회장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이 그룹 측의 입장이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들 기업의 인수과정에서 돈보다 기업의 영속성을 우선시돼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이들 기업의 새 주인이 단순히 돈의 논리에 입각해 결정된다면 이들 기업의 핵심적 가치가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은 역사와 전문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다. 금호산업은 본업인 건설업은 물론 아시아나항공의 경영권과도 연결돼 있다. 항공업은 최고의 전문성을 요하는 사업이다. 금호고속의 육상 운수업도 관련 시장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들 기업이 만약 사모펀드나 전문성이 결여된 기업으로 인수될 경우 기업의 영속성은 물론 직원들의 고용 안정성까지도 크게 저해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사모펀드는 기업의 항구적 존재보다 투자 이익을 최우선으로 감안하는 곳이기 때문에 경영 현안 중에서 언제든 이익에 반한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전문성과 관련 없이 조정될 수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관련 사업과 큰 관계가 없는 제3의 인수자가 기업의 영속성과 직원들의 안정성을 지키겠다는 약속을 한다고 하더라도 한계가 있다”며 “기업의 가치와 역사, 전문성을 지키는 선에서 최대한 합리적인 방법으로 매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