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 금요일

  • 서울 18℃

  • 인천 14℃

  • 백령 12℃

  • 춘천 20℃

  • 강릉 14℃

  • 청주 21℃

  • 수원 16℃

  • 안동 20℃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20℃

  • 전주 20℃

  • 광주 20℃

  • 목포 19℃

  • 여수 18℃

  • 대구 23℃

  • 울산 18℃

  • 창원 20℃

  • 부산 19℃

  • 제주 16℃

하반기 큰장서는 분양시장··· 과연 결과는?

하반기 큰장서는 분양시장··· 과연 결과는?

등록 2014.06.17 07:00

수정 2014.06.17 07:19

김지성

  기자

정부, 규제완화 등 대책 모색 호재미분양 적체, 공급 과잉 양상 악재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김동민 기자 life@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김동민 기자 life@


올해 하반기 아파트 분양 물량이 대거 쏟아진다. 총 184개 단지 14만556가구로 2000년대 들어 최대치 물량이다.

건설사들은 세월호 참사와 지방선거, 월드컵 등으로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었던 상반기와 달리, 9월부터 본격화하는 하반기 분양시장을 대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웠다.

정부 역시 주택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 개선 방안을 비롯해 시장 활성화 후속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돼 하반기 분양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닥터아파트 등 부동산정보업체에 따르면 하반기(7~12월) 전국 분양예정 아파트는 수도권 7만4219가구를 포함해 총 184개 단지 14만556가구로 조사됐다.

휴가철 비수기인 7월과 8월에는 각각 1만1533가구, 1만1977가구에 그치지만, 가을에 접어드는 9월에는 하반기 최대 물량인 3만5151가구, 10월에는 2만1761가구 각각 공급된다.
이어 11월과 12월에는 각각 9874가구, 3856가구 물량이 예정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7만4219가구(전년비 2만4634가구 증가), 5대 광역시(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 2만3767가구(전년비 2585가구 감소), 지방중소도시 4만2570가구(전년비 2656가구 증가) 등이다.

하반기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1.3%(2만4705가구)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2000년 이후 최대 물량인 2003년(13만2494가구)보다는 1만가구 이상이 많다.

대세 하락기인 상황에서 대세 상승기였던 2003년보다 많은 물량이 쏟아지는 터라 현장 관계자들도 물량 소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지난달만 하더라도 수도권에서 28곳이 분양됐지만 1순위 마감된 곳은 시흥목감 B5블록(공공임대), 부천옥길 A2블록(분납임대) 2곳에 그쳤다. 최종 미달한 곳도 절반이 넘는 15곳에 달했다.

게다가 청약률과 계약률의 차이가 매우 벌어진 시장상황을 고려하면, 미분양 가구 수는 시장에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물론 시장 분위기가 나쁘지만 호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주택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연이어 후속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 상황이 호전될 가능성은 높다.

실제 정부는 전월세 임대 소득에 대한 과세시기를 2017년으로 1년 더 늦추고 상대적으로 영세한 연간 2000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에게 보유 주택 수와 상관없이 분리과세를 적용키로 했다.

뿐만 아니라 6월 국회에서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 등 부동산 관련 법안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무위원 후보자 인사청문회, 세월호 국정조사 등 국회 일정이 빡빡한 데다 대칭점에 있는 새정치민주연합 측의 반대도 넘어야 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도 정부의 움직임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면서 하반기 분양시장을 전망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주택시장을 움직일 재료가 없는 상황이다. 주택 임대시장 선진화 방안 입법 결과에 따라 분기점이 마련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재현 부동산뱅크 팀장은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선다는 측면은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가계부채 등 기초체력 고갈로 대책이 영속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기저에 깔린 ‘집값 회복 불가’ 심리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